2021년 나들이 84

안의삼동(安義三洞) : 거창 수승대 및 함양 용추폭포

안의삼동(安義三洞)은 조선 후기까지 독립된 행정단위였던 안의현의 경치 좋은 3개 골짜기를 일컫는 말이다. 동천(洞天)은 도교적 이상향으로 세상사 시름 잊고 유유자적하는 곳, 마음에 평화를 주는 안식처다. 안의삼동의 세곳은 함양의 화림동 및 심진동과 거창의 명승 수승대가 있는 원학동이다. 안의현은 조선 후기까지 함양 북동(안의·서상·서하면)과 거창 서북(북상·위천·마리면) 일대를 포괄하는 독립된 행정 단위였다. 그러나 1728년 이인좌의 난으로 해체돼 함양과 거창으로 분리된다. 이인좌와 함께 반란을 주도한 정희량의 고향이 바로 안의였기 때문이다. 역적의 고향 안의의 유생들은 이때부터 벼슬길이 막히고, 자연을 벗 삼아 공부밖에 할 일이 없었으니, 경치 좋은 계곡마다 정자가 들어섰다는 게 안의삼동에 대한 해석..

2021년 나들이 2021.06.23

백두대간을 가다 : 빼재(신풍령:수령) - 삼봉산(왕복)

이번에는 덕유산구간의 백두대간 산행을 나선다. 덕유산에서 백두대간 코스는 육십령에서 출발하여 주능선을 따라 할미봉, 서봉, 삿갓봉, 무룡산, 동엽령, 백암봉으로 이어지다가 백암봉에서 우틀하여 귀봉, 횡경재, 지봉, 대봉, 갈미봉, 빼봉, 빼재, 삼봉산으로 넘어간다. 작년에 육십령에서 향적봉으로 이어지는 산행을 했기에 이번에는 1박2일동안 백암봉에서 삼봉산으로 이어지는 구간을 할 예정이며, 첫날은 빼재에서 삼봉산으로 이어진 백두대간을 왕복(편도 4km) 산행하고 둘째날은 백암봉에서 빼재방향으로 산행 할 계획이다. 빼재는 경상남도 거창군 고제면 개명리에서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 삼거리를 잇는 고개로, 높이 920m이다. 삼봉산(1,255m)은 산경표 등 예전부터 덕유삼봉산, 덕유산삼봉, 덕유원봉 등으로 불렸..

2021년 나들이 2021.06.21

올댓스탬프 경기서부7길 스탬프투어 나들이

올댓스탬프 경기서부7길 스탬프투어 나들이를 나선다. 대상은 부천 둘레길, 화성 실크로드, 안산 대부해솔길, 평택 섶길, 시흥 늠내길, 김포 평화누리길, 광명 누리길 등 총 7개의 걷기길을 지나는 지점이다. 수도권의 익숙한 도시이름이라서 가볍게 다양한 관광지를 돌아보며 구경을 했다. 대부분의 장소가 지역적인 명소이고 휴일이다 보니 많은 인파가 찾는다. 하룻동안 이곳 저곳 다니는라 바쁜 감은 있었으나 수도권의 명소를 보고 즐기며 나들이를 마친다. ^^ 일시 : 2021.06.12 토 코스 : 안산 - 시흥 - 광명 - 부천 안산시 선포동에 위치한 노적봉공원 인공폭포인 시원한 폭포수가 하얀 물줄기를 뽐내고 있다. 아트트릭...사실감이 조금 떨어진다.;; 장미원(4,917㎡)에는 정원용 사계장미인 바카롤, 룸바..

2021년 나들이 2021.06.21

올댓스탬프의 김포 방방곡곡

올댓스탬프앱의 김포 방방곡곡 모바일 스탬프 투어를 하면서 김포의 명소(15곳)들을 이곳 저곳 둘러본다. 올댓스탬프앱은 국내 관광활성화를 위하여 각 지자체와 트랭글이 손잡고 함께 만든 국내 관광앱으로 이곳에서는 전국의 주요 관광지 방문인증, 유명 걷기길 따라가기 인증 등의 미션을 수행하면 스탬프를 획득하게 되며. 스탬프 획득에 따라 제공되는 선물이 있는데 김포 방방곡곡 모바일 스탬프 투어에서는 15곳의 명소를 방문하여 스탬프를 인증할 경우 5개는 오천원권 모바일 문화상품권, 10개는 만원, 15개는 이만원 상품권을 선착순 지급한다. 스탬프투어 미션 덕분에 김포에서 살면서도 그동안 가보지 못했던 많은 명소들을 둘러 볼수 있었는데 선물의 가격이 크지는 않지만 여행을 하면서 덤으로 상품권도 받으니 일석이조이다...

2021년 나들이 2021.06.16

제부도 및 대부도 볼거리 : 제부항, 대부광산퇴적암층 및 구봉도 낙조전망대

백두대간 산행을 이른시간에 마치고 귀경길을 오르면서 돌아본 경기도 서부 나들이 그중 제부도 및 대부도를 가볍게 둘러보면서 바다냄새를 맡아본다. 이 지역은 집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지만 산행을 주로 하다보니 발걸음이 뜸한 곳인데 이른 산행을 마치고 귀경길에 이곳 저곳 둘러보면서 눈요기를 한다. 수도권에 접한 바닷가라서 나들이 차량이 도로를 메우고 많은 사람들이 휴일을 즐기고 있다. 언제 끝날지 모를 코로나시국으로 지친 몸과 마음을 시원한 바다바람에 실려 보낸다. ^^ 일시 : 2021.06.06 일 코스 : 제부도 및 대부도 제부항의 빨간등대...뒤에 보이는 섬은 대부도이다. 제부도는 화성시에 속하고 대부도는 안산시에 속한다. 제부도는 예로부터 육지에서 멀리 바라보이는 섬이라는 뜻에서 ‘저비섬’ 또는 ..

2021년 나들이 2021.06.10

백두대간을 가다 : 육십령 - 구시봉(깃대봉 : 왕복)

등산앱 백두대간 24구간중 3구간의 육십령과 구시봉을 왕복 산행한다. 날씨가 좋으면 영취산까지 종주를 하려 했으나 오전에 천둥 및 벼락이 치고 비가 예보되어서 변경하였다. 3구간에는 육십령, 구시봉, 영취산, 백운산의 인증배지가 있는데 오늘 구시봉을 산행하여 구간을 마무리한다. 육십령에서 구시봉까지는 3km의 오르막이 꾸준히 이어지는데 등로도 푹신한 육산이라서 어렵지가 않다. 오후에 예보된 비소식으로 빠르게 움직였더니 산행시간이 2시간 정도 밖에 안되었으나 하산을 할때 천둥소리에 놀라서 더 이상의 나들이를 접고 이른 시간에 귀경길에 올랐다. 다음에는 덕유산코스의 4구간을 이어갈 예정이다. ^^ 일시 : 2021.06.06 일 코스 : 육십령 - 구시봉(깃대봉 : 왕복) 육십령 휴게소 육십령 명칭의 유래에..

2021년 나들이 2021.06.10

함양 화림동 계곡 : 거연정 - 농월정 - 동호정

백두대간의 백운산 산행후에 명승지 제 86호인 함양 화림동계곡을 둘러본다. 꽃과 나무가 무리지어 피고 자라는' 계곡이란 뜻의 화림동(花林洞)계곡은 29번 국도를 타고 가다고 도로변에 위치한 화림계곡 선비문화 탐방의 안내판을 보고 운좋게 화림동계곡을 볼수 있었다. 화림동계곡은 해발 1,508m의 남덕유산에서 발원한 금천(남강의 상류)이 서상 - 서하를 흘러내리면서 냇가에 기이한 바위와 담.소를 만들고 농월정에 이르러서는 반석 위로 흐르는 옥류와 소나무가 어우러져 무릉도원을 이루고 있는 곳으로 장장 60리에 이른다. 가히 우리나라의 정자문화의 메카라고 불리어지는 곳 답게 '팔담팔정(八潭八亭)’의 고장으로 부르며, 계곡 전체의 넓은 암반 위에 수많은 정자들과 기암괴석으로 어우러진 곳이다. 여덟이라는 숫자는 어..

2021년 나들이 2021.06.09

백두대간을 가다 : 무룡고개 - 영취산 - 백운산(왕복)

등산앱 백두대간 24코스중 3코스인 백운산구간을 무룡고개에서 왕복 산행한다. 백두대간은 종주산행이 의미가 크나 여건상 등산앱의 봉우리 인증방식으로 산행을 하고 있다. 산행 들머리의 무룡고개 주차장을 11시29분에 도착하니 예전과 다르게 빈자리가 없을 정도로 꽉차 있다. 이번 산행 들머리인 무룡고개는 2014년 5월에 산림청 백대명산의 장안산을 산행하며 방문하였던 곳인데 벌써 7년이란 세월이 지나버렸다. 무룡고개는 무릉고개라고도 하고 전라북도에 속하나 경상남도와의 경계지점에 위치한다. 낯익은 들머리의 풍경을 보면서 이번에는 백두대간산행을 위해서 좌측의 영취산으로 오른다. ^^ 일시 : 2021.06.05 토 코스 : 무룡고개 - 영취산 - 백운산(왕복 : 8.6km) 산헹 들머리인 무룡고개 주차장...차량..

2021년 나들이 2021.06.09

가평 화야산 및 고동산

화야산은 가평군 외서면과 양평군 서정면에 걸쳐 있는 해발755m의 산으로 한국의 산하 인기명산 182위에 올라 있다. 수도권에 위치하여 순위가 제법 높은데 한국의 산하에서 언급된 평은 북한강이 산 북쪽으로 청평호를 이루면서 감싸고 돌아 남쪽으로 향해 나란히 흘러나가는 가운데 있으므로 산행 중에 내려다 보이는 경치가 아름다우며, 청평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있으므로 접근이 용이하고 정상 북쪽 끝에 위치한 뾰루봉(709m)과 서쪽능선 위에 일구어진 고동산(600m)이 모두 화야산에 딸린 봉우리라 할 수 있다. 동서로 갈라져 내려간 능선에는 수림이 울창하고 계곡이 깊어서 산행의 묘미를 느낄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산행을 해보니 조망은 고동산 정상에서만 확 트였으며, 오르고 내려가는 등로는 경사가 급하고 하산하는 ..

2021년 나들이 2021.06.03

김포 장릉(章陵) 나들이

김포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인 장릉을 방문한다. 김포 장릉은 사적 제202호로 조선후기 제16대 인조의 아버지 원종과 왕비 인헌왕후 구씨의 능이 있다. 조선 왕릉중 장릉의 명칭은 세곳이 있지만 한자는 전부 다르다. 김포 장릉(章陵)외에 비운의 왕인 단종이 묻힌 영월 장릉(莊陵), 제16대 임금인 인조와 왕비인 인열왕후 한씨의 능이 있는 파주 장릉(長陵)이 있다. 조선 왕릉은 대부분 도읍지였던 한양 외곽에 위치해 있으며, 왕릉은 도읍지의 4대문 10리 밖 80리(오늘날의 100리로, 당시의 10리는 요즘의 4km가 아니고 5.2km이다.) 안에 위치해야 한다는 법이 있었기 때문이라 한다. 그리고 궁궐에서 출발한 임금의 참배 행렬이 하루에 도착할 수 있는 거리를 기준으로 삼았다. 물론 예외도 있어서 강원도 영월..

2021년 나들이 2021.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