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불교의 삼보사찰중 한 곳인 승보사찰로
유명한 순천 송광사를 찾았다.
석가모니 사리를 봉안한 곳을 불보사찰(佛寶寺刹), 고려대장경을 보관한 곳을 법보사찰(法寶寺刹), 고승을 많이 배출한 곳을 승보사찰(僧寶寺刹)이라 하는데, 이를 합쳐 삼보사찰(三寶寺刹)이라 한다. 즉, 영축산 통도사와 가야산 해인사, 조계산 송광사가 이에 해당한다. 통도사는 신라의 자장(慈藏)이 646년(선덕여왕 15년)에 창건하면서 당에서 가지고 온 불사리(佛舍利)를 금강계단(金剛戒壇)에 봉안했기 때문에 불보사찰이라 한다. 그래서 대웅전에는 불상을 모시지 않고 불단만 마련했다.
해인사는 1398년(태조 7년)에 강화도 선원사에 있던 고려대장경을 옮겨와서 장경각(藏經閣)에 보관하고 있기 때문에 법보사찰이라 한다. 송광사는 보조 지눌(普照知訥, 1158~1210년)을 비롯해서 혜심(慧諶, 1178~1234년) · 몽여(夢如, ?~1252년) · 혼원(混元, 1191~1271년) · 천영(天英, 1215~1286년) · 충지(冲止, 1226~1292년) 등 국사의 칭호를 받은 16명의 고승을 배출했기 때문에 승보사찰이라 한다.
년초의 평일날 산사는 한적하다 못해 조계산
산자락에 묻혀서 고요한 기운이 감돈다.
가볍게 이곳 저곳을 둘러보고 나들이를 마친다. ^^
일시 : 2025.01.03 금 맑음
코스 : 송광사 한바퀴
넓은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산사에 접어든다.
조계산도립공원에 위치한 송광사
산 건너편에는 선암사가 자리하고 있다.
매표소...지금은 무료입장이다.
삼국지에 나오는 인물도 같다.
길상다원을 지나고...
청량각에서 계곡의 오른쪽 길은 송광사로 향하는 넓게 포장된 길이다. 청량각 왼쪽은 운치 있는 옛길이 이어진다. 이 옛길을 한참 걸으면, 송광사 산내 암자인 불일암(佛日庵)으로 오르는 오솔길이 산속으로 열린다.
송광사 입구에서 불일암까지 이 오솔길을 '무소유(無所有)길'(왕복 1.2km)이라 부른다.
불일암과 송광사 갈림길
불일암은 다음을 기약하고 송광사로...
평일 이른 시간이라서 방문객이 없어 고요하다.
불일암은 무소유(無所有) 정신으로 널리 알려진 법정(法頂, 1932~2010) 스님이 1970년대 중반에 손수 이곳에 암자를 짓고 홀로 지냈다.
먼저 성보박물관을 관람한다.
큰 절에 가면 성보박물관이 있는데 도난, 훼손 등 위험요소가 있는 사찰 전래의 문화재들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보존 전시하는 한편,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불교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목적으로 설립된 것이다.
많은 불교관련 기록으로 가득한 박물관
전시실은 깔끔하게 정비가 되었다.
국보로 지정된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2003년 보물로 지정된 지 약 21년 만의 국보 승격이다.
16분의 국사
이분들을 배출하여 승보사찰이 되었다.
박물관을 뒤로하고 경내를 돌아본다.
계곡 건너편에 일주문이 보인다.
한겨울의 아침 산사는 적막하다.
성보각을 지나고...
비사리구시
비사리 구시는 구유라고도 하며, 절에서 제를 모실 때 사찰에 모여든 대중을 위하여 밥을 저장했던 목조 용기이다
대웅전 전경
넓은 경내에 홀로 거니는 옆지기 ^^
송광사 약사전 및 영산전
가볍게 경내를 둘러보고 내려간다.
천왕문...사천왕문은 사찰로 들어서는 3문(三門) 중 일주문 다음에 위치하는 대문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사천왕문은 그림 또는 조각으로 조성한 사천왕을 봉안한 문이다. 사천왕은 천상계의 가장 낮은 곳에 위치하는 사천왕천의 동서남북 네 지역을 관장하는 신으로,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천왕의 역할을 한다. 사찰로 들어서는 3문 중 일주문 다음에 위치하여 절을 외호하는 동시에 출입하는 이로 하여금 절이 청정 도량임을 인식하게 한다.
남쪽의 증장천왕
서쪽의 광목천왕
북쪽의 다문천왕
동쪽의 지국천왕
고향수...보조국사 지눌의 지팡이
일주문을 나선다.
다시 길상다원을 지나고...
해맑은 동자승을 뒤로 하고
송광사 나들이를 마무리한다...^^
'2025년 나들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도 창후항 및 무태돈대, 김포 대명항 (1) | 2025.02.02 |
---|---|
설명절 고궁나들이 : 종묘-창경궁-창덕궁 (1) | 2025.02.01 |
도봉산의 클라이맥스 Y계곡 : 도봉탐방지원센터-은석암-다락능선-Y계곡-한국등산학교-도봉탐방지원센터 (0) | 2025.01.26 |
순천 화포항 및 봉화산의 붉은 노을 (0)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