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걷기길 모음 세번째는 서오릉나들길이다.
코스 거리는 4.44km이고 1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
서오릉은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198호로 지정되었다. 경기도 고양시 용두동(龍頭洞)에 있으며 풍수적(風水的)인
길지에 왕실의 족분(族墳)을 이룬 것인데, 경릉(敬陵)·창릉(昌陵)·익릉(翼陵)·명릉(明陵)·홍릉(弘陵)의 5능을 일컫는다.
이곳은 어릴적 살았던 동네 옆이라서 초등학교(그 당시는 국민학교라 하였다.) 시절에 소풍으로 자주 갔었다.
그 당시의 추억은 특별하게 남아있지 않아서 기억에 없지만 찬찬히 왕릉을 둘러보며 산책길을 걷는다.
의외로 한적한 길에 간간이 산책을 나온 사람들을 만난다.
왕릉이라서 나름 운치가 느껴지고 조용히 사색을 즐기기에는 좋은 장소인것 같다.
일시 : 2018.02.09 금
서오릉 입구...유료입장이다.
현재 조선의 왕릉 중 42기가 ‘능’이며 13기가 ‘원’이다. 대부분 서울과 경기도에 분포되어 있는데, 태조 이성계의
첫 번째 부인인 신의 왕후의 무덤인 ‘제릉’과 2대 임금 정종과 부인 정안 왕후의 무덤인 ‘후릉’은 개성에 있다.
유네스코는 조선왕조 518년, 27대에 걸친 왕과 왕비의 능 42기 가운데 북한 땅에 있는 2기를 제외하고
40기를 한데 묶어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했어요
조선 왕족의 무덤은 무덤 주인의 신분에 따라 ‘능’은 왕과 왕비의 무덤이며
‘원’은 왕위를 이어받을 왕자인 왕세자와 세자빈, 또는 왕의 아버지 무덤을 말한다.
매표소를 지나면 명릉을 만난다.
명릉은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둘째 계비 인원왕후의 능이다.
수경원은 조선 제21대 왕 영조의 후궁이자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생모인 영빈 이씨(暎嬪李氏)의 묘이다.
원래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내에 있었으나 1970년 이곳으로 이장하였다.
1899년(고종 36)에 정자각과 비각을 새로 신축하고 비석도 새로 세웠는데 정자각과 비각은
연세대학교 내에 그대로 남아 있어 비각과 비석이 서로 떨어져 있다.
두번째로 만나는 능은 익릉이다.
익릉은 숙종왕비(肅宗王妃) 인경왕후 김씨(仁敬王后 金氏)의 능이다
홍살문을 시작으로 능의 형태가 이어진다.
참도...높은 쪽은 혼이 다니는 길로 신도라 하고, 낮은 곳은 임금이 다니는 길로 어도라 한다.
익릉을 지나서는 앵봉산 방향으로 오르게 되는데 주변에 소나무를 식재하였다.
소나무길이 끝나면 서어나무길이 이어진다.
서어나무길이 끝나면 만나게 되는 세번째 능은 창릉이다.
창릉은 덕종의 아우인 예종(睿宗)과 그 계비(繼妃) 안순왕후 한씨(安順王后 韓氏)의 능이다.
비각에 있는 신도비
홍릉은 영조 원비(英祖元妃) 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徐氏)의 능이다.
정자각 너머로 능이 위치하고 있다. 영조는 왕후의 택조(宅兆)를 정하면서 장차 함께 묻히고자 허석(虛石)의 제도를
쓰고 능상석물(陵上石物)은 쌍릉(雙陵)을 예상하여 배치하여 놓고 있다. 현재 홍릉 우측의 공간은 바로 이것으로
영조의 능이 동구릉(東九陵)에 자리잡게 되자 빈 채로 남아 있게 되었다.
홍릉을 지나면 고개를 넘어가게 된다.
대빈묘은 조선 제19대 왕 숙종의 후궁이자 제20대 왕 경종의 생모인 희빈 장씨의 묘이다.
1969년 경기도 광주시 도시구획으로 희빈장씨의 묘자리에 도로가 들어서자 고양시 서오릉 경내로 이장하였다.
경릉은 세조(世祖)의 세자 장(璋:德宗)과 그 비(妃)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의 능이다.
능제(陵制)는 좌측이 왕, 우측이 비의 동원이강식(同原異岡式)으로 왕우비좌(王右妃左)의 일반 상례와 반대되고 있다.
이는 왕비가 생전에 덕종의 추존에 따라 왕비로 책봉되었기에 능제도 왕릉 형식을 갖추었으나,
왕은 당초 세자로 돌아갔으므로 세자묘대로 두기로 하였기 때문이다.
서오릉 산책길에서 마지막 묘인 순창원이다.
조선 제13대 왕 명종의 장자인 순회세자(順懷世子)와 세자빈인 공회빈(恭懷嬪) 윤씨의 합장묘이다.
순창원을 마지막으로 서오능을 한바퀴 돌아보고 후문으로 나서며 나들이를 마친다.
'2018년 나들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원 겨울여행 : 백마고지, 노동당사, 직탕폭포 및 고석정 (0) | 2018.02.26 |
---|---|
연천 겨울여행 : 재인폭포 및 고대산 역고드름 (0) | 2018.02.26 |
경기도 걷기길 모음2 : 김포 장릉산 산책로 (0) | 2018.02.20 |
인천을 걷다...둘레길(1) 11코스 : 도원역 - 수도국산박물관 - 동인천역 (0) | 2018.02.16 |
인천을 걷다...걷기길 모음2 : 계양산주변누리길 (1) | 2018.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