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정보

서울둘레길(서울두드림길) 안내

행복 찾기 2014. 11. 25. 17:17

서울둘레길이 11월 15일 개통되었다.

제주 올레길로 걷기 열풍이 일어난 각 지자체마다 특색있는 명칭으로 길을 만들었는데

이번 서울둘레길은 서울두드림길의 결정판이라고 할수 있다.

 

현재 서울둘레길을 종주하는 상황에서 서울두드림길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고자 한다.

서울두드림길 홈페이지(http://gil.seoul.go.kr/walk/index.jsp)를 방문하면 상세한 정보를 얻을수 있다.

 

서울두드림길

서울의 아름다운 생태, 역사, 문화자원을 천천히 걸으면서 느끼고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도보중심의 길로서 도심에서 ‘자연의 느림과 여유’를 만끽할 수 있는 걷기코스입니다.

서울두드림길은 서울둘레길, 한양 도성길, 근교산자락길, 생태문화길, 한강지천길로 크게 구분됩니다.

레길, 한양 도성길, 근교산자락길, 생태문화길, 한강지천길로 크게 구분됩니다. 서울두드림길은 서울둘레길, 한양 도성길, 근교산자락길, 생태문

서울둘레길, 한양도성길

서울의 내・외사산을 연결하는 순환코스를 정비하여 서울의 역사, 문화, 자연생태를 탐방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지난 2009년부터 조성을 진행하고 있는 서울의 대표적인 길입니다.

남산, 낙산, 인왕산, 북악산 등 내사산 및 4대문, 한양도성을 잇는 내사산둘레길 즉, 한양 도성길 18.6km와 관악산, 북한산, 대모산, 수락산, 봉산, 아차산 등을 이어 서울의 외곽을 한 바퀴 도는 외사산 둘레길 157km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한양 도성길은 안내체계 및 노선정비가 지난 2011년 완료되었고, 둘레길은 좀 더 나은 보행환경을 위하여 곳곳의 끊어진 부분을 연결하고 숲길을 정비하는 등의 사업이 2014년까지 계획(11월 15일 개통)되어 있습니다.

 

 

 

서울둘레길 안내도

8개코스로 구성되었으며, 각 코스별로 종주에 따른 스탬프시설을 구비하여 종주 완료시에는 인증서를 발급한다. 

 

 

 

 

서울둘레길 스탬프 시설(우체통을 이용한다.) 

 

 

 

스탬프는 28개이다. 

 

스탬프를 다 찍으면 완주인증서 발급